- (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46길 37, 4층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82-2-794-4146 +82-2-794-3146 office@kamje.or.kr
제 51차 신규 평가회 총평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iology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iology는 대한신경모니터링학회(Korean Intraoperative Neural Monitoring Society: https://www.kinmos.or.kr)의 학술지로 매년 5월,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출간된 Vol. 4,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jnn.or.kr/index.ink)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평가에 사용된 5월호에는 원저 1편, 종설 9편 등 총 10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었습니다. 논문의 50%이상이 편집위원이 작성한 논문입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필요합니다. 학회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학술지 title이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ology”, “Journal of Neuromonitoring and Neurophysiology”로 혼용되고 있어 통일이 필요합니다. ISSN에 등록된 명칭으로 통일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학술지 온라인 사이트가 있는데, eISSN이 없습니다. 신속히 발급받아 표기해야 하겠습니다. 학회지의 얼굴이라고 말할 수 있는 판권란의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명확히 알아보기 어렵고, 온라인 사이트 상의 정보와도 상이합니다. 다른 저널의 상황을 살펴보고 내용을 확충해야 하며, 학술지의 front page로 넣을 것을 권유합니다. 특히 aims and scope에는 다른 학회지와의 차별점을 잘 부각시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발행인(publisher)이 학회로 되어 있으나 주소는 뒤쪽으로 옮기는 게 좋고,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Editorial board 목록은 홈페이지 상의 내용으로 변경하고 별도 페이지로 구성한 후 판권란 뒤에 넣어야 합니다. 현재 홈페이지의 editorial board에 statistical editor, English editor, manuscript editor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은 긍정적이나, 단순히 학술지 평가를 위한 형식적 기재가 되지 않도록 실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소속 국가, ORCID ID 등을 연결하는 것이 학술지 공신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며,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은 규정은 있으나, 논문에는 적용되고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고, preprint 금지 관련 규정도 재검토를 권유합니다. 저자 check list도 추가가 필요합니다.
Keyword는 5개까지 기록하게 되어 있으나, 해당 논문이 많이 인용되기 위해서는 가능한 5개를 모두 채우고, time, electrode, voice 등 일반적인 것보다는 논문의 내용을 잘 반영하는 좀 더 자세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MeSH word만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가능한 MeSH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승인의 경우, 승인일과 승인번호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형식이 투고규정과 다르고, 오류가 많습니다. 또한 본문 내 괄호 사용 및 기본적인 오탈자나 띄어쓰기 등 오류가 눈에 많이 띕니다. 전체적인 체제를 통일하고, 눈에 띄는 오류는 바로 잡을 수 있는 교정 인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학술지 편집 레이아웃 및 서체가 루즈한 느낌입니다. 디자인 업데이트로 가시효과 개선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더 나아가 본문 내외로 연결되는 interactive pdf로 제작할 수 있으면 가장 좋겠습니다. 그림의 해상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각 논문 doi는 유료로 열람가능한 상업 플랫폼으로 연결되고, 학술지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한 논문 view는 텍스트 및 자료 복사 등이 불가능한 사진 이미지로 제공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합니다. 보다 많은 독자들이 학술지 사이트에서 각 논문을 편리하게 열람하고 인용할 수 있도록 XML 혹은 HTML 및 pdf로 전문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동안의 노력에 감사드리고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은 대한간이식학회(The Korean Liver Transplantation Society)의 학술지로 매년 5월,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출간된 Vol. 4,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e-alt.org/main.html#n)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종설 2편, 원저 3편 등 총 5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모든 논문이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 편집위원이 작성한 논문입니다. 특히 특정 연구팀의 논문이 너무 많고, conflict of interest를 기술하지 않았습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필요한 내용은 대부분 있지만 영문 알파벳 오류가 눈에 띕니다.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저작권 연도가 2021년입니다. 매년 자동으로 update 될 수 있도록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All rights reserved 기재가 있는데, open access 정책과 충돌이 있으니 삭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작권 기재 라인에 인포랑이 함께 있어 저작권자 오인이 우려됩니다. 또한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연락처가 journal@alt.org, korealkts@naver.com 등으로 나뉘어진 것처럼 보입니다. 편집위원 배열은 알파벳 순으로 추천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소속 국가, ORCID ID 등을 연결하는 것이 학술지 공신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학회지 이름이 기술된 부분도 있습니다(Advertising).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고, 제목에 맞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출판윤리 정책이 editorial policy가 아니라 for author 아래에 있습니다. Conflict of interest를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작성할 것을 추천합니다. Peer review가 심사자를 위한 내용을 적절한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editorial policy라는 탭이 없습니다. Best practice 몇몇 곳에 tab이 언급되는데, 실제 이 학술지 tab과 동일한 표현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해당 tab에 링크를 걸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eprint policy 관련 규정 추가를 고려해 주십시오. 현재 투고규정에선 preprint를 금지하는 것처럼 기술하고 있습니다. ORCID정책에선 책임저자만 기술하도록 되어 있지만, 현재 논문은 모는 저자의 ORCID를 넣고 있어 통일과 수정이 필요합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최근 PMC 탈락 학술지에서 reporting guideline에 따르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이 학술지에서는 투고규정에 CONSORT에 관한 언급만 한 번 나옵니다. 모든 논문을 reporting guideline에 따라 작성하기는 어렵지만, case report부터 적용해볼 것을 추천합니다.
홈페이지에서 Metric, My read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게재된 논문들이 오류를 거의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잘 교정되어 있고, 전반적인 체계 정리 및 참고문헌 서지 관리도 우수합니다. 다만 표의 편집과 약어 표기에 좀 더 신경을 써 주시고, 유효 숫자를 감안한 소수점 처리의 일관성 유지를 부탁합니다. 원저에서는 임상연구에 필요한 윤리사항(IRB, informed consent)를 기재했는데, 증례의 경우 informed consent 언급이 없습니다. 반드시 추가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이런 내용을 보완하면 전문 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학회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은 대한심혈관중재학회의의 학술지로 2022년 창간된 후 매년 1, 4, 7, 10월, 년 4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Vol. 3, No. 3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e-jci.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Vol. 1 No. 1 & 2에서는 원저가 4편 있으나 원저의 비중이 줄어들어 2024년 Vol. 3 No. 1 & 2에서는 1편, 그리고 No. 3에서는 원저가 한 편도 게재되지 않아 원저 비중이 격감하고 있습니다. 훌륭한 학술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원저를 유치하고 게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표지에 저널 홈페이지 URL을 표기해 주시고, 책등에 페이지 정보를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판권란에 학술지의 ‘aim and scope’의 내용이 중복되어 기술되어 있는 부분은 삭제하고, 본 학술지에서 다루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이고 독특한 강점을 기술한다면 더 많은 저자들의 투고를 유도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또 발행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 배열은 알파벳 순으로 추천합니다(현재 이름의 알파벳 순입니다. 대개는 이름이 아닌 성의 알파벳 순으로 기술합니다.).
투고규정은 매우 잘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부 수정이 필요한데,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가대상인 Vol. 3 No. 3에 있는 투고규정은 2024년 4월 개정된 규정인데, 홈페이지에서는 2024년 9월 개정된 규정이 안내되어 있어, 투고예정인 저자들의 혼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투고규정이 최근 개정되었음을 알림창 등으로 공지하여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투고규정에서 참고문헌의 인용 예시에서 학술지명이 이탤릭체로 표기되어 있으나, 논문에서는 이탤릭체가 아닌 글꼴로 표기되어 있는데, 적절하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는 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가 없는 것으로, 하지만 투고규정의 ‘IV. Editorial policy’ 항목에서는 게재결정된 논문의 경우, 최소 APC를 부과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배치되므로 적절하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최소의 금액이 부과된다면 금액을 숫자로 명시해야 합니다. Best Practice 항목이 홈페이지 상의 단독 링크를 통해 잘 정리돼 있습니다만 일부 오류가 있습니다. 1) 2022년에 개정되어 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제목은 (version 4)로 돼 있으나, 내용은 version 3입니다. 2) 13번째 Archiving policy는 4번째 Archiving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13번째 Archiving policy의 내용을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rchiving은 이 학술지가 더 이상 발간되지 않는 순간이 온다고 하더라도 발행한 논문들에 대한 영구적인 접근을 위한 정책이 있는지를 묻는 항목입니다. 4) Google Scholar and Open Access Journals (DOAJ)에 오타가 있습니다. Google Scholar and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DOAJ)로 수정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훌륭한 포맷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그림이 눈에 잘 띄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다른 논문에 실린 그림을 인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러스트레이션의 저작권 문제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논문에 삽입한 그림의 경우, 원 논문이 실린 해당 학술지로부터 그림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는지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이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Cosmetic Medicine
Journal of Cosmetic Medicine은 대한미용의학회의 학술지로 2017년에 창간된 후 매년 6,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출간된 Vol. 8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jcosmetmed.org/)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이미 JCI와 DOAJ에 등재되어 있고, 다수의 외국저자가 작성한 논문이 출판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와 PDF 포맷이 전체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투고시스템 내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Author User Guide)을 국영문으로 제공하여 저자의 이용편의성을 높혔습니다. 또, 개별 논문의 landing page에서 Split Viewer, Google Scholar와 Naver Academic에 연결되는 다이렉트 링크와 같이 다른 논문에서 잘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팝업에서 현재는 Lund 대학이 아니라 “DOAJ is an independent, non-profit organisation managed by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C.I.C. (IS4OA).”으로 표현해야 맞겠습니다. 홈페이지의 How to submit an article? 이라는 메뉴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투고시스템 내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을 제공하여 저자의 이용편의성을 높혔습니다. 표지 하단에 있는 학회 홈페이지 URL은 삭제해 주시고, 책등에 페이지 정보를 기재해 주시고, 발행인을 학회명으로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판권란에 본 학회지와 관련있는 해외학회에 대한 정보 밑에 구독료와 학술지 구입비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 내용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Founding editor 및 많은 편집위원의 ORCID ID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모든 Editor/Contributing Editor의 ORCID ID 연결을 추천합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 게시된 Best Practice 메뉴들은 Principles of Transparency and Best Practice in Scholarly Publishing은 2022년, version 4로 개정하여 게시하시면 좋겠습니다. EndNote Click 서비스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되니 확인바랍니다. 투고규정에 제정 및 개정날짜를 제시하여 주시고, Keyword 작성시 MeSH을 이용한 keyword 작성 안내를 추가하시면 좋겠습니다. 저작권 이양 및 이해충돌에 대한 양식을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 찾기 어려웠습니다. 본 학술지의 특성상 환자 사진이 삽입된 논문이 많은데, 환자로부터 informed consent를 받았다는 표기를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투고규정에 patient informed consent가 필요하다는 것, consent form 제공 등에 대한 보강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투고규정에 독립적인 쪽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부분의 논문이 오자 없이 잘 관리되어 있는데, 특히 한 편의 논문에서 저자의 표기방식(학위 등)에 맞지 않게 작성되었고, 실험방법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참고문헌이 인용되어 있으며, 오자가 눈에 많이 뜨입니다. 또, Fig. legend의 설명이 혼동스럽게 작성되어 있고, 표에 제시된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표기방식이 이해하기 어렵게 제시되어 있으며, 투고규정에 표는 10개 미만으로 작성하도록 안내되어 있는데, 표가 10개 작성되어 있습니다. 논문 말미에 conflict of interest 이외에 acknolwdegement, funding, author ORCID,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학술지 출판을 위해 노력하는 편집위원장님과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본 학술지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거듭 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