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46길 37, 4층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82-2-794-4146 +82-2-794-3146 office@kamje.or.kr
제 51차 신규 평가회 총평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iology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iology는 대한신경모니터링학회(Korean Intraoperative Neural Monitoring Society: https://www.kinmos.or.kr)의 학술지로 매년 5월,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출간된 Vol. 4,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jnn.or.kr/index.ink)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평가에 사용된 5월호에는 원저 1편, 종설 9편 등 총 10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었습니다. 논문의 50%이상이 편집위원이 작성한 논문입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필요합니다. 학회 홈페이지 접속이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학술지 title이 “Journal of Neuromonitoring & Neurophysology”, “Journal of Neuromonitoring and Neurophysiology”로 혼용되고 있어 통일이 필요합니다. ISSN에 등록된 명칭으로 통일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학술지 온라인 사이트가 있는데, eISSN이 없습니다. 신속히 발급받아 표기해야 하겠습니다. 학회지의 얼굴이라고 말할 수 있는 판권란의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명확히 알아보기 어렵고, 온라인 사이트 상의 정보와도 상이합니다. 다른 저널의 상황을 살펴보고 내용을 확충해야 하며, 학술지의 front page로 넣을 것을 권유합니다. 특히 aims and scope에는 다른 학회지와의 차별점을 잘 부각시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발행인(publisher)이 학회로 되어 있으나 주소는 뒤쪽으로 옮기는 게 좋고,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Editorial board 목록은 홈페이지 상의 내용으로 변경하고 별도 페이지로 구성한 후 판권란 뒤에 넣어야 합니다. 현재 홈페이지의 editorial board에 statistical editor, English editor, manuscript editor가 모두 기재되어 있는 것은 긍정적이나, 단순히 학술지 평가를 위한 형식적 기재가 되지 않도록 실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소속 국가, ORCID ID 등을 연결하는 것이 학술지 공신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며,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은 규정은 있으나, 논문에는 적용되고 있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고, preprint 금지 관련 규정도 재검토를 권유합니다. 저자 check list도 추가가 필요합니다. Keyword는 5개까지 기록하게 되어 있으나, 해당 논문이 많이 인용되기 위해서는 가능한 5개를 모두 채우고, time, electrode, voice 등 일반적인 것보다는 논문의 내용을 잘 반영하는 좀 더 자세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MeSH word만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으나, 가능한 MeSH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승인의 경우, 승인일과 승인번호를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형식이 투고규정과 다르고, 오류가 많습니다. 또한 본문 내 괄호 사용 및 기본적인 오탈자나 띄어쓰기 등 오류가 눈에 많이 띕니다. 전체적인 체제를 통일하고, 눈에 띄는 오류는 바로 잡을 수 있는 교정 인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전체적으로 학술지 편집 레이아웃 및 서체가 루즈한 느낌입니다. 디자인 업데이트로 가시효과 개선이 될 것으로 생각되고, 더 나아가 본문 내외로 연결되는 interactive pdf로 제작할 수 있으면 가장 좋겠습니다. 그림의 해상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각 논문 doi는 유료로 열람가능한 상업 플랫폼으로 연결되고, 학술지 온라인 사이트에서 제공한 논문 view는 텍스트 및 자료 복사 등이 불가능한 사진 이미지로 제공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합니다. 보다 많은 독자들이 학술지 사이트에서 각 논문을 편리하게 열람하고 인용할 수 있도록 XML 혹은 HTML 및 pdf로 전문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동안의 노력에 감사드리고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합니다.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은 대한간이식학회(The Korean Liver Transplantation Society)의 학술지로 매년 5월,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출간된 Vol. 4,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e-alt.org/main.html#n)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종설 2편, 원저 3편 등 총 5편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습니다. 모든 논문이 Annals of Liver Transplantation 편집위원이 작성한 논문입니다. 특히 특정 연구팀의 논문이 너무 많고, conflict of interest를 기술하지 않았습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필요한 내용은 대부분 있지만 영문 알파벳 오류가 눈에 띕니다.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저작권 연도가 2021년입니다. 매년 자동으로 update 될 수 있도록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All rights reserved 기재가 있는데, open access 정책과 충돌이 있으니 삭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작권 기재 라인에 인포랑이 함께 있어 저작권자 오인이 우려됩니다. 또한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연락처가 journal@alt.org, korealkts@naver.com 등으로 나뉘어진 것처럼 보입니다. 편집위원 배열은 알파벳 순으로 추천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소속 국가, ORCID ID 등을 연결하는 것이 학술지 공신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학회지 이름이 기술된 부분도 있습니다(Advertising).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고, 제목에 맞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출판윤리 정책이 editorial policy가 아니라 for author 아래에 있습니다. Conflict of interest를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작성할 것을 추천합니다. Peer review가 심사자를 위한 내용을 적절한지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editorial policy라는 탭이 없습니다. Best practice 몇몇 곳에 tab이 언급되는데, 실제 이 학술지 tab과 동일한 표현을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해당 tab에 링크를 걸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eprint policy 관련 규정 추가를 고려해 주십시오. 현재 투고규정에선 preprint를 금지하는 것처럼 기술하고 있습니다. ORCID정책에선 책임저자만 기술하도록 되어 있지만, 현재 논문은 모는 저자의 ORCID를 넣고 있어 통일과 수정이 필요합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최근 PMC 탈락 학술지에서 reporting guideline에 따르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이 학술지에서는 투고규정에 CONSORT에 관한 언급만 한 번 나옵니다. 모든 논문을 reporting guideline에 따라 작성하기는 어렵지만, case report부터 적용해볼 것을 추천합니다. 홈페이지에서 Metric, My read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게재된 논문들이 오류를 거의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잘 교정되어 있고, 전반적인 체계 정리 및 참고문헌 서지 관리도 우수합니다. 다만 표의 편집과 약어 표기에 좀 더 신경을 써 주시고, 유효 숫자를 감안한 소수점 처리의 일관성 유지를 부탁합니다. 원저에서는 임상연구에 필요한 윤리사항(IRB, informed consent)를 기재했는데, 증례의 경우 informed consent 언급이 없습니다. 반드시 추가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이런 내용을 보완하면 전문 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학회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은 대한심혈관중재학회의의 학술지로 2022년 창간된 후 매년 1, 4, 7, 10월, 년 4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Vol. 3, No. 3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e-jci.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Vol. 1 No. 1 & 2에서는 원저가 4편 있으나 원저의 비중이 줄어들어 2024년 Vol. 3 No. 1 & 2에서는 1편, 그리고 No. 3에서는 원저가 한 편도 게재되지 않아 원저 비중이 격감하고 있습니다. 훌륭한 학술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원저를 유치하고 게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표지에 저널 홈페이지 URL을 표기해 주시고, 책등에 페이지 정보를 기재해 주시기 바랍니다. 판권란에 학술지의 ‘aim and scope’의 내용이 중복되어 기술되어 있는 부분은 삭제하고, 본 학술지에서 다루고자 하는 분야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이고 독특한 강점을 기술한다면 더 많은 저자들의 투고를 유도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또 발행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 배열은 알파벳 순으로 추천합니다(현재 이름의 알파벳 순입니다. 대개는 이름이 아닌 성의 알파벳 순으로 기술합니다.). 투고규정은 매우 잘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부 수정이 필요한데,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평가대상인 Vol. 3 No. 3에 있는 투고규정은 2024년 4월 개정된 규정인데, 홈페이지에서는 2024년 9월 개정된 규정이 안내되어 있어, 투고예정인 저자들의 혼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투고규정이 최근 개정되었음을 알림창 등으로 공지하여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투고규정에서 참고문헌의 인용 예시에서 학술지명이 이탤릭체로 표기되어 있으나, 논문에서는 이탤릭체가 아닌 글꼴로 표기되어 있는데, 적절하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는 article processing charges (APC)가 없는 것으로, 하지만 투고규정의 ‘IV. Editorial policy’ 항목에서는 게재결정된 논문의 경우, 최소 APC를 부과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배치되므로 적절하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최소의 금액이 부과된다면 금액을 숫자로 명시해야 합니다. Best Practice 항목이 홈페이지 상의 단독 링크를 통해 잘 정리돼 있습니다만 일부 오류가 있습니다. 1) 2022년에 개정되어 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제목은 (version 4)로 돼 있으나, 내용은 version 3입니다. 2) 13번째 Archiving policy는 4번째 Archiving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 13번째 Archiving policy의 내용을 다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rchiving은 이 학술지가 더 이상 발간되지 않는 순간이 온다고 하더라도 발행한 논문들에 대한 영구적인 접근을 위한 정책이 있는지를 묻는 항목입니다. 4) Google Scholar and Open Access Journals (DOAJ)에 오타가 있습니다. Google Scholar and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DOAJ)로 수정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훌륭한 포맷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그림이 눈에 잘 띄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다른 논문에 실린 그림을 인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러스트레이션의 저작권 문제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논문에 삽입한 그림의 경우, 원 논문이 실린 해당 학술지로부터 그림 사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는지가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이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Cosmetic Medicine Journal of Cosmetic Medicine은 대한미용의학회의 학술지로 2017년에 창간된 후 매년 6, 12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출간된 Vol. 8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jcosmetmed.org/)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이미 JCI와 DOAJ에 등재되어 있고, 다수의 외국저자가 작성한 논문이 출판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와 PDF 포맷이 전체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에서 투고시스템 내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Author User Guide)을 국영문으로 제공하여 저자의 이용편의성을 높혔습니다. 또, 개별 논문의 landing page에서 Split Viewer, Google Scholar와 Naver Academic에 연결되는 다이렉트 링크와 같이 다른 논문에서 잘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팝업에서 현재는 Lund 대학이 아니라 “DOAJ is an independent, non-profit organisation managed by Infrastructure Services for Open Access C.I.C. (IS4OA).”으로 표현해야 맞겠습니다. 홈페이지의 How to submit an article? 이라는 메뉴가 인상적이었습니다. 투고시스템 내의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한 매뉴얼을 제공하여 저자의 이용편의성을 높혔습니다. 표지 하단에 있는 학회 홈페이지 URL은 삭제해 주시고, 책등에 페이지 정보를 기재해 주시고, 발행인을 학회명으로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판권란에 본 학회지와 관련있는 해외학회에 대한 정보 밑에 구독료와 학술지 구입비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 내용은 다른 곳으로 이동하거나 삭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Founding editor 및 많은 편집위원의 ORCID ID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모든 Editor/Contributing Editor의 ORCID ID 연결을 추천합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 게시된 Best Practice 메뉴들은 Principles of Transparency and Best Practice in Scholarly Publishing은 2022년, version 4로 개정하여 게시하시면 좋겠습니다. EndNote Click 서비스 로그인 페이지로 연결되니 확인바랍니다. 투고규정에 제정 및 개정날짜를 제시하여 주시고, Keyword 작성시 MeSH을 이용한 keyword 작성 안내를 추가하시면 좋겠습니다. 저작권 이양 및 이해충돌에 대한 양식을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 찾기 어려웠습니다. 본 학술지의 특성상 환자 사진이 삽입된 논문이 많은데, 환자로부터 informed consent를 받았다는 표기를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투고규정에 patient informed consent가 필요하다는 것, consent form 제공 등에 대한 보강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투고규정에 독립적인 쪽번호를 부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부분의 논문이 오자 없이 잘 관리되어 있는데, 특히 한 편의 논문에서 저자의 표기방식(학위 등)에 맞지 않게 작성되었고, 실험방법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참고문헌이 인용되어 있으며, 오자가 눈에 많이 뜨입니다. 또, Fig. legend의 설명이 혼동스럽게 작성되어 있고, 표에 제시된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표기방식이 이해하기 어렵게 제시되어 있으며, 투고규정에 표는 10개 미만으로 작성하도록 안내되어 있는데, 표가 10개 작성되어 있습니다. 논문 말미에 conflict of interest 이외에 acknolwdegement, funding, author ORCID,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학술지 출판을 위해 노력하는 편집위원장님과 관계자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본 학술지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거듭 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Read More제 52차 신규 평가회 총평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2024년부터 1월, 5월, 9월, 년 3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출판된 Vol. 21, No. 3의 pdf file과 저널 홈페이지(https://www.e-jmls.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본 학술지는 2023년까지는 연 4회 출판하였다가 3회로 발행 횟수를 줄였고, 증례보고 출판은 중단할 예정이고, 필요시 letter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현재의 상황으로 논문 수급이 어렵고, 재정상의 어려움이 있음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출판간기, 정시성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투고규정에 특별호 발간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는 것도 정시성 측면에서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든 잡지에서 Aims and scope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이 학술지는 의과학 전반을 실을 수 있는 의과대학 발행 학술지여서 더욱 중요합니다. PDF에서 판권과 editorial board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한 페이지로 돼 있고, aims and scope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으로 확인하였으나, 좀 더 구체적이고 고유한 identity를 보일 수 있게 수정이 필요하겠습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 구성이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고, 위원장/위원의 ORCID 링크가 잘 연결되어 있지만, 일부 잘못 링크된 부분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현재의 gmail.com은 변경해야겠습니다. 향후 증례보고 출판은 없겠지만, letter 등으로 출판할 경우, informed consent 부분에 대해 좀 더 고민해 주시길 바랍니다. 향후 저널 출판을 영어로만 진행할 경우, 전체적인 흐름과 일관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통권으로 받은 모든 issue들의 Figure 해상도가 좋지 않았습니다. 홈페이지 Landing page에 있는 이미지는 해상도가 나쁘지 않았으나, 통권 PDF에서는 어떤 내용인지 확인할 수가 없어 홈페이지에서 일일이 다시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PDF 버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인지, 여러 플랫폼으로 유통과 배포시에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통일하여 적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ICMJE Recommendation에 따라 홈페이지와 온라인투고 접근성 및 투고규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 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은 별도의 쪽번호로 정리하는 게 좋겠습니다(현재는 쪽번호가 없습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고, 투고규정에 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언급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금액을 명시해야 합니다. 2025년부터 Letter에 case report도 포함해서 출판이 가능하다면 아티클 유형의 letter 내용에 case report 형식[서론, 사례, 토론] 등의 구성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3년 IF를 산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1-2022 중에서 Citation이 1회였습니다. 인용 카운트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저널을 규정에 맞게 원활하게 운영하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제안해 드린 내용을 참조하여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보완과 개선을 요청합니다. 구체적 예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모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내 의과대학이 출판하는 훌륭한 잡지로 거듭 날 수 있도록 힘차게 응원합니다. Journal of Multiple Sclerosis and Neuroimmunology 대한신경면역학회(Korean Society of Neuroimmunology: https://www.koreams.org)가 출판하는 학술지로 매년 6월과 12월 연 2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출간된 Vol. 15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jmsni.org/current/index.php?vol=15&no=1)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6월호에는 종설 4편, 증례 2편, 단신보고 1편 등 7편이 출판되었고, 원저는 없습니다. 또한 7편 중 3편에서 편집위원 혹은 학회 이사장이 저자입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필요하고, conflict of interest (COI)가 기술되어야 합니다. 해외 DB 탈락 사유에 편집위원의 COI 문제가 많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모든 논문에 라이선스와 DOI 표기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도 잘 만들어졌고, 원고에 오류가 거의 없어 편집위원회 교수님들께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홈페이지의 Aims and Scope과 Instruction for authors의 Aims and Scope이 투고자 입장에서 저널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 각 논문별 review article 또는 original article을 각각 명기하거나, 논문유형 제목란을 구분하여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논문별 유형이 무엇인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편집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링크 설정을 추천해 드립니다. 학술지 연락처가 개인 이메일입니다.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ICMJE Recommendation에 따라 홈페이지와 온라인투고 접근성 및 투고규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회칙이 있는데, 이는 학회지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삭제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투고규정에 article 종류 즉 original article, review article, case report, brief communication, neuroimage, letter to the editor등의 유형에 따른 투고 시 주요 사항에 대한 언급이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었고, 제1저자와 교신저자 역할의 구분, reporting guideline등을 언급하도록 권장하도록 하는 부분의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투고규정에 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언급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금액을 명시해야 합니다. Review fee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금액 제시가 필요합니다. 대상자 동의 취득(informed consent)이 투고규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얼굴이나 신분 노출과 무관하게 증례에는 informed consent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앞으로 PMC 등 해외 DB에 등재를 준비해야 할텐데, informed consent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참고문헌의 수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잘 준수하였지만, 수정이 필요한 곳이 보입니다. 본문에 인용한 그림 등의 경우, 출판사 허락에 대한 취득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I,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통일하여 적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특정 논문의 경우, Discussion 다음에 COI가 저자됨을 포함하여 길게 기술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으나, 반면, 서술적 조사연구임에도 불구하고 IRB 번호가 누락되어 있거나, COI, data sharing statement 등 없이 참고문헌으로 이어져 각 논문별 일관된 투고형태 유지가 이루어진다면 저널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널의 위상과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편집위원장님과 편집위원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Journal of Multiple Sclerosis and Neuroimmunolog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 Gerontology 대한임상노인학회(Korean Academy of Geriatrics & Gerontology: https://www.koreangeriatrics.or.kr)의 학술지로 4월, 8월과 12월에 연 3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8월에 출간된 Vol. 25 No. 2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ekjcg.org/main.html)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대한임상노인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학회와 학술지의 국문명에는 “임상”이 포함되어 있으나, 영문 학술지 명에는 “clinical”이 없어서 연계가 잘 안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학술지가 전반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일부 논문에서 오류가 집중적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금 더 신경 쓰셔서 좋은 학술지로 발전시켜 주시길 바랍니다. 의편협에서 추천드리는 방법은 manuscript editor을 고용하거나, 출판사 등에서 지원을 받는 것입니다. 꼭 필요한 일이고, 간행위원회, 학회 이사회 등에서 논의하고, 학회지 발전을 위해 건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의 title로는 ISSN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ISSN portal에서 현재 학술지를 검색할 수 없는 것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ISSN을 변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든 잡지에서 Aims and scope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본 학술지의 identity를 드러낼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을 고민하여 잘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현재 온라인 출판만 한다도 들었는데.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2024년부터 온라인만으로만 출판한다는 내용을 학술지 소개 부분에 추가하는 게 필요하겠습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등의 링크가 잘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원들의 ORCID 이름과 대소문자도 일치할 수 있도록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소속 국가까지 명시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편집위원 명단은 last name의 알파벳 순으로 기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편집위원의 논문이 있는데, conflict of interest가 원고에 반드시 기술되어 있어야 합니다. 학술지 연락처가 기술되어 있지 않고, 학회 연락처 번호와 주소만 있습니다. 학술지 연락처를 별도로 만들어 기술해야 하고, 이메일을 만들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rchiving에서 index가 되어 있는 database를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학술지가 더 이상 출판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백업용 저장을 말합니다.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archiving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국영문으로 투고규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데, 비교적 잘 만들어 운영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약간 오래 된 용어를 사용하거나 소제목과 내용이 잘 맞지 않는 부분이 보입니다. 통권 PDF의 메모를 보시고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본 학술지의 특성상 보고서 자료를 많이 인용하는데, 투고규정 내 참고문헌 유형으로 추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Peer review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이 reviewer보다는 저자들의 출판 윤리 일부를 기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심사자를 위한 정보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연구를 원저로 구분할지, 종설로 구분할지 다른 문헌들 참고하고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논문 심사시 투고규정 준수 여부를 세심히 살펴야 합니다. 예로, 중심어의 MeSH 사용 등도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 Gerontolog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합니다.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https://komiss.org/)의 학술지로, 2024년 4월과 10월 연 2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출간된 Vol. 9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 (https://jmisst.org/articles/archive.php)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오류가 거의 없고 필수 항목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편집 디자인도 단정하고 시인성이 좋고, 온라인 사이트도 컨텐즈와 기능이 모두 잘 갖춰져 있습니다. 학술지 title이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와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 Technique”로 혼용되고 있어 표기 통일이 필요합니다. ISSN에 등록된 명칭인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로 통일을 권유합니다. 여러 나라와 협업을 통해 학회지를 성장시키려는 노력이 보였습니다. 현재 Scopus, DOAJ에도 등재되어 있고, surgery 분야의 Q3 저널임을 알 수 있습니다. 판권란에 DOAJ, Scopus 등재 정보를 기술하면 좋은 홍보가 될 것 같습니다. 학술지 구독 정보 추가가 필요합니다. Editorial Board 구성도 우수합니다. 각 editor의 ORCID 등 연구자 ID를 제공하고, 편집 및 XML 등을 제작하는 실무 staff 리스트도 추가로 표기하면 더 좋겠습니다. 아울러 전 편집장님과 ethics editor 기술하는 부분을 높이 평가합니다. 편집위원의 conflict of interest가 단 한 건의 누락도 없이 잘 기술되어 있고, IRB 승인 내용도 비교적 잘 기술된 편이나, IRB 소속 기관이나 승인 번호 등의 정보가 누락된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또한 Case Reports에도 대상자 written informed consent 기술이 빠지지 않도록 점검하기 바라고, 동의서 형식을 check list에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게재되는 임상 사진과 영상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기간에 대한 제한을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Uniportal dual mode로 시작하는 논문은 혁신적 수술기법을 소개하는 목적이었는데, 2016년 data를 분석하였습니다. 투고규정에 주요 항목이 빠짐없이 잘 기술되어 있고, URL 링크 오류 등도 거의 없어 매우 관리가 잘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추가로 Preprint 정책과 저널 폐간 시의 백업 및 archiving 정책, artificial intelligence 활용에 있어서의 지침 등 내용도 보강할 것을 권유합니다. 또한 투고규정에서 Data Sharing 정책을 기술하고 있는데, 각 논문에서도 Data Sharing Statement가 기술되면 더 좋겠습니다. Open Access에 대한 설명 중 비상업적 사용에 대해서만 무제한적 사용을 허용한다는 것을 명시해야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Open access, best practice,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기술이 잘 되어 있습니다. 투고 규정에서 종설, 원저, 증례 보고 등에 따른 글자수, 중심어, 참고문헌 수 등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어 표로 잘 기술하였습니다. Received, Revised, Accepted도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중심단어가 MeSH로 주로 구성되도록 편집할 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문에 인용한 그림 등의 경우, 출판사 허락에 대한 취득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참고문헌의 숫자도 최대한 규정에 맞춰서 진행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펴주시길 바랍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author contribution 부분을 추가할 것을 권장합니다.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은 매우 우수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 meta-analysis 등의 다양한 형태의 논문이 투고되는 게 도움이 되겠고, PubMed, Medline 등의 해외 database에 index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Read More의편협 신규 단체회원 소개
CardioMetabolic Syndrome Journal (CMSJ) CardioMetabolic Syndrome Journal (CMSJ)는 심장대사증후군학회(Korean Society of CardioMetabolic Syndrome, KSCMS)의 공식 학술지로 2021년 3월 창간하여 2024년 9월 4권 2호까지 발행을 완료하였습니다. CMSJ는 비만 관련 합병증인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고혈당과 대사증후군에 의한 심혈관 질환 발생의 집중적인 예방, 관리 및 치료에 관련된 심장내과, 내분비내과, 기초연구자, 가정의학과, 운동전문가, 영양전문가 등 국내외 연구자들의 다학제적인 학술정보 교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CMSJ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에 새로운 회원으로 함께 하게 된 것을 계기로 CMSJ의 학술역량을 한단계 성장시키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학술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Kawasaki Disease(KD) Kawasaki Disease(KD) 학술지는 단일 질환인 가와사키병에 집중하는 국내 유일의 학회지로, 대한가와사끼병학회(Korean Society of Kawasaki Disease, KSKD)가 발행하는 공식 저널입니다. KD 학술지는 2023년 6월 제1권 1호를 창간하였으며, 오는 2024년 12월에 제2권 2호 출간을 앞두고 있습니다. 가와사키병은 주로 영유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으로, 치료되지 않을 경우 관상동맥류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소아 후천성 심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KD 학술지는 가와사키병의 진단, 치료, 예방 및 연구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제공하며, 이 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KD는 단일 질환을 다루는 학술지로서, 가와사키병과 유사 질환에 대한 전문적이고 집중적인 연구를 다루며, 국내외 연구자들에게 최신 연구 결과와 임상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KD는 극동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며, 전 세계 연구자들의 기고를 통해 국제 학술 교류의 장으로도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대한가와사끼병학회는 KD 학술지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신규 단체회원이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단일 질환에 대한 전문 학술지로서 KD의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를 통해 대한민국 의학과 대한의학회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습니다.
Read More출판윤리가이드라인 4판 개정을 위한 출판윤리워크샵
2024년 12월 20일(금)~21일(토) 양일에 걸쳐 종근당 강남빌딩에서 의편협 출판윤리가이드라인 개정을 위한 출판윤리워크숍 및 윤리전문가 양성과정이 개최되었다. 이틀에 걸친 이날 행사에는 출판윤리가이드라인 4판 개정판 집필에 참여한 집필진과 개정판 리뷰 및 토의에 참여한 전문가 40여 명이 참여하였으며, 개정판 초고 발표 및 주제별 심도있는 토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워크숍은 출판윤리가이드라인 개정판의 완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국내 윤리전문가 양성이라는 성과도 거둘 수 있었다.
Read More회원 현황 및 회원 가입 안내
본 협의회의 단체회원은 2024년 12월 31일 현재 291종 학술지이며, 개인회원은 31명입니다. 특별회원으로는 (주)갑우문화사, 거목문화사, 광 문출판사, 네이버(주), 디자인메카, 메드랑(의학문화사), 아카데미아, 에디티지, 엠투피아이, ㈜워드바이스, 이월드에디팅(Eworld Editing), 인권앤파트너스, 진기획, 크림슨인터랙티브 코리아(이나고), (주)Compecs, InfoLumi, iMiS Company, XMLink(주) 등 총 18개 단체가 가입되어 있습니다. 단체회원 및 특별회원으로 가입을 원하는 단체는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홈페이지 (https://www.kamje.or.kr/)의 회원가입 안내를 참고하거나, 의편협 사무국(office@kamje.or.kr)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