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2차 신규 평가회 총평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제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2024년부터 1월, 5월, 9월, 년 3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출판된 Vol. 21, No. 3의 pdf file과 저널 홈페이지(https://www.e-jmls.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본 학술지는 2023년까지는 연 4회 출판하였다가 3회로 발행 횟수를 줄였고, 증례보고 출판은 중단할 예정이고, 필요시 letter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현재의 상황으로 논문 수급이 어렵고, 재정상의 어려움이 있음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출판간기, 정시성을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투고규정에 특별호 발간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는 것도 정시성 측면에서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든 잡지에서 Aims and scope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이 학술지는 의과학 전반을 실을 수 있는 의과대학 발행 학술지여서 더욱 중요합니다. PDF에서 판권과 editorial board 부분이 분리되지 않고 한 페이지로 돼 있고, aims and scope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으로 확인하였으나, 좀 더 구체적이고 고유한 identity를 보일 수 있게 수정이 필요하겠습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 구성이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고, 위원장/위원의 ORCID 링크가 잘 연결되어 있지만, 일부 잘못 링크된 부분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현재의 gmail.com은 변경해야겠습니다.
향후 증례보고 출판은 없겠지만, letter 등으로 출판할 경우, informed consent 부분에 대해 좀 더 고민해 주시길 바랍니다. 향후 저널 출판을 영어로만 진행할 경우, 전체적인 흐름과 일관성에 대해서도 확인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통권으로 받은 모든 issue들의 Figure 해상도가 좋지 않았습니다. 홈페이지 Landing page에 있는 이미지는 해상도가 나쁘지 않았으나, 통권 PDF에서는 어떤 내용인지 확인할 수가 없어 홈페이지에서 일일이 다시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PDF 버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인지, 여러 플랫폼으로 유통과 배포시에 잘 살펴야 할 것 같습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통일하여 적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ICMJE Recommendation에 따라 홈페이지와 온라인투고 접근성 및 투고규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 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은 별도의 쪽번호로 정리하는 게 좋겠습니다(현재는 쪽번호가 없습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하고, 투고규정에 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언급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금액을 명시해야 합니다. 2025년부터 Letter에 case report도 포함해서 출판이 가능하다면 아티클 유형의 letter 내용에 case report 형식[서론, 사례, 토론] 등의 구성으로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3년 IF를 산출한다고 가정했을 때 2021-2022 중에서 Citation이 1회였습니다. 인용 카운트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전반적으로, 저널을 규정에 맞게 원활하게 운영하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제안해 드린 내용을 참조하여 필요한 부분에 대한 보완과 개선을 요청합니다. 구체적 예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모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를 통해,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국내 의과대학이 출판하는 훌륭한 잡지로 거듭 날 수 있도록 힘차게 응원합니다.
Journal of Multiple Sclerosis and Neuroimmunology
대한신경면역학회(Korean Society of Neuroimmunology: https://www.koreams.org)가 출판하는 학술지로 매년 6월과 12월 연 2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6월 출간된 Vol. 15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jmsni.org/current/index.php?vol=15&no=1)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6월호에는 종설 4편, 증례 2편, 단신보고 1편 등 7편이 출판되었고, 원저는 없습니다. 또한 7편 중 3편에서 편집위원 혹은 학회 이사장이 저자입니다. 투고 저변 확대가 필요하고, conflict of interest (COI)가 기술되어야 합니다. 해외 DB 탈락 사유에 편집위원의 COI 문제가 많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모든 논문에 라이선스와 DOI 표기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도 잘 만들어졌고, 원고에 오류가 거의 없어 편집위원회 교수님들께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홈페이지의 Aims and Scope과 Instruction for authors의 Aims and Scope이 투고자 입장에서 저널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 각 논문별 review article 또는 original article을 각각 명기하거나, 논문유형 제목란을 구분하여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논문별 유형이 무엇인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편집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링크 설정을 추천해 드립니다. 학술지 연락처가 개인 이메일입니다.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ICMJE Recommendation에 따라 홈페이지와 온라인투고 접근성 및 투고규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회칙이 있는데, 이는 학회지와 관련된 내용이 아니므로 삭제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투고규정에 article 종류 즉 original article, review article, case report, brief communication, neuroimage, letter to the editor등의 유형에 따른 투고 시 주요 사항에 대한 언급이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었고, 제1저자와 교신저자 역할의 구분, reporting guideline등을 언급하도록 권장하도록 하는 부분의 내용이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투고규정에 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언급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금액을 명시해야 합니다. Review fee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금액 제시가 필요합니다. 대상자 동의 취득(informed consent)이 투고규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얼굴이나 신분 노출과 무관하게 증례에는 informed consent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앞으로 PMC 등 해외 DB에 등재를 준비해야 할텐데, informed consent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참고문헌의 수에 대한 규정이 있습니다. 대부분은 잘 준수하였지만, 수정이 필요한 곳이 보입니다. 본문에 인용한 그림 등의 경우, 출판사 허락에 대한 취득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I, author contribution, data sharing statement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통일하여 적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특정 논문의 경우, Discussion 다음에 COI가 저자됨을 포함하여 길게 기술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으나, 반면, 서술적 조사연구임에도 불구하고 IRB 번호가 누락되어 있거나, COI, data sharing statement 등 없이 참고문헌으로 이어져 각 논문별 일관된 투고형태 유지가 이루어진다면 저널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널의 위상과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편집위원장님과 편집위원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Journal of Multiple Sclerosis and Neuroimmunolog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 Gerontology
대한임상노인학회(Korean Academy of Geriatrics & Gerontology: https://www.koreangeriatrics.or.kr)의 학술지로 4월, 8월과 12월에 연 3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8월에 출간된 Vol. 25 No. 2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https://www.ekjcg.org/main.html)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대한임상노인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로 학회와 학술지의 국문명에는 “임상”이 포함되어 있으나, 영문 학술지 명에는 “clinical”이 없어서 연계가 잘 안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학술지가 전반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습니다. 일부 논문에서 오류가 집중적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금 더 신경 쓰셔서 좋은 학술지로 발전시켜 주시길 바랍니다. 의편협에서 추천드리는 방법은 manuscript editor을 고용하거나, 출판사 등에서 지원을 받는 것입니다. 꼭 필요한 일이고, 간행위원회, 학회 이사회 등에서 논의하고, 학회지 발전을 위해 건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의 title로는 ISSN 조회가 되지 않습니다. ISSN portal에서 현재 학술지를 검색할 수 없는 것은 문제가 될 것 같습니다. ISSN을 변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모든 잡지에서 Aims and scope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본 학술지의 identity를 드러낼 수 있는 고유한 특징을 고민하여 잘 기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현재 온라인 출판만 한다도 들었는데. 홈페이지에서 내용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2024년부터 온라인만으로만 출판한다는 내용을 학술지 소개 부분에 추가하는 게 필요하겠습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등의 링크가 잘 연결되어 있습니다. 위원들의 ORCID 이름과 대소문자도 일치할 수 있도록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소속 국가까지 명시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됩니다. 편집위원 명단은 last name의 알파벳 순으로 기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편집위원의 논문이 있는데, conflict of interest가 원고에 반드시 기술되어 있어야 합니다. 학술지 연락처가 기술되어 있지 않고, 학회 연락처 번호와 주소만 있습니다. 학술지 연락처를 별도로 만들어 기술해야 하고, 이메일을 만들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 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Best practice 4판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archiving에서 index가 되어 있는 database를 기술하고 있는데, 이는 학술지가 더 이상 출판되지 않을 때를 대비한 백업용 저장을 말합니다.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에서 archiving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국영문으로 투고규정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데, 비교적 잘 만들어 운영하고 계십니다. 그리고 약간 오래 된 용어를 사용하거나 소제목과 내용이 잘 맞지 않는 부분이 보입니다. 통권 PDF의 메모를 보시고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본 학술지의 특성상 보고서 자료를 많이 인용하는데, 투고규정 내 참고문헌 유형으로 추가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Peer review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이 reviewer보다는 저자들의 출판 윤리 일부를 기재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심사자를 위한 정보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연구를 원저로 구분할지, 종설로 구분할지 다른 문헌들 참고하고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논문 심사시 투고규정 준수 여부를 세심히 살펴야 합니다. 예로, 중심어의 MeSH 사용 등도 확인해 주시길 바랍니다.
Korean Journal of Geriatrics & Gerontolog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합니다.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Korean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Society: https://komiss.org/)의 학술지로, 2024년 4월과 10월 연 2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출간된 Vol. 9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 (https://jmisst.org/articles/archive.php)를 대상으로 평가를 하였습니다.
오류가 거의 없고 필수 항목들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편집 디자인도 단정하고 시인성이 좋고, 온라인 사이트도 컨텐즈와 기능이 모두 잘 갖춰져 있습니다. 학술지 title이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와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 Technique”로 혼용되고 있어 표기 통일이 필요합니다. ISSN에 등록된 명칭인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로 통일을 권유합니다.
여러 나라와 협업을 통해 학회지를 성장시키려는 노력이 보였습니다. 현재 Scopus, DOAJ에도 등재되어 있고, surgery 분야의 Q3 저널임을 알 수 있습니다. 판권란에 DOAJ, Scopus 등재 정보를 기술하면 좋은 홍보가 될 것 같습니다. 학술지 구독 정보 추가가 필요합니다. Editorial Board 구성도 우수합니다. 각 editor의 ORCID 등 연구자 ID를 제공하고, 편집 및 XML 등을 제작하는 실무 staff 리스트도 추가로 표기하면 더 좋겠습니다. 아울러 전 편집장님과 ethics editor 기술하는 부분을 높이 평가합니다.
편집위원의 conflict of interest가 단 한 건의 누락도 없이 잘 기술되어 있고, IRB 승인 내용도 비교적 잘 기술된 편이나, IRB 소속 기관이나 승인 번호 등의 정보가 누락된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또한 Case Reports에도 대상자 written informed consent 기술이 빠지지 않도록 점검하기 바라고, 동의서 형식을 check list에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게재되는 임상 사진과 영상에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기간에 대한 제한을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Uniportal dual mode로 시작하는 논문은 혁신적 수술기법을 소개하는 목적이었는데, 2016년 data를 분석하였습니다.
투고규정에 주요 항목이 빠짐없이 잘 기술되어 있고, URL 링크 오류 등도 거의 없어 매우 관리가 잘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추가로 Preprint 정책과 저널 폐간 시의 백업 및 archiving 정책, artificial intelligence 활용에 있어서의 지침 등 내용도 보강할 것을 권유합니다. 또한 투고규정에서 Data Sharing 정책을 기술하고 있는데, 각 논문에서도 Data Sharing Statement가 기술되면 더 좋겠습니다. Open Access에 대한 설명 중 비상업적 사용에 대해서만 무제한적 사용을 허용한다는 것을 명시해야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Open access, best practice,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 기술이 잘 되어 있습니다. 투고 규정에서 종설, 원저, 증례 보고 등에 따른 글자수, 중심어, 참고문헌 수 등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어 표로 잘 기술하였습니다. Received, Revised, Accepted도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 중심단어가 MeSH로 주로 구성되도록 편집할 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문에 인용한 그림 등의 경우, 출판사 허락에 대한 취득 및 이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합니다. 참고문헌의 숫자도 최대한 규정에 맞춰서 진행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펴주시길 바랍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author contribution 부분을 추가할 것을 권장합니다.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nd Technique은 매우 우수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앞으로 meta-analysis 등의 다양한 형태의 논문이 투고되는 게 도움이 되겠고, PubMed, Medline 등의 해외 database에 index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