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46길 37, 4층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82-2-794-4146 +82-2-794-3146 office@kamje.or.kr
제 50차 신규 평가회 총평

Clinical Ultrasound
Clinical Ultrasound는 대한임상초음파학회의 공식 학회지로 매년 5월과 11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에 출판된 8권 2호의 종설 5편, 증례 5편, images in clinical medicine 1편의 논문과 학술지 홈페이지(https://www.clinicalultrasound.org/)로 평가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학술지가 잘 관리되고 있고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좀 더 보완, 개선이 된다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필요한 내용은 대부분 있지만 조금씩 틀리거나 오래된 자료를 참조한 경우가 있습니다.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또한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편집위원장이 가장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기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제학술지로 위상을 위해 국가표기도 일원화하는 것이 좋겠고, 편집위원이 현재 모두 한국인이고 소속도 한국의 대학인데, 국제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About the Journal (https://www.clinicalultrasound.org/about/about.php)과 Open Access (https://www.clinicalultrasound.org/about/open_access.php)의 CC BY-NC 4.0을 일치시켜 주시기 바랍니다. Research and Publication Ethics에서는 “Statement of informed consent and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에 대해 자세히 기술되어 있지만, 실제 논문에서는 관련 내용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있어 향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증례의 경우, 최근의 출판윤리에선 patient informed consent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다시 한 번 강조드립니다. 전체적으로 투고규정을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논문 제목의 국문명과 영문명이 일치하도록 세심히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날짜(투고일, 승인일), 저자 소속이 기관 간에 일치하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임상증례의 경우 참고문헌 숫자가 10개 이하로 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준수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Figure legend의 경우, 독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 화살표 등의 기호를 활용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울러 이에 대한 저자들의 투고규정 준수 확인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세심한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본 학술지엔 표보다 그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논문 특성상 그림의 화질이 중요하겠습니다. 더 선명하게 편집하는 것이 좋겠고, 그림 안의 글자/기호 등이 통일감이 더 있으면 합니다. 향후에는 interactive PDF로 조판을 하는 것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학술지는 학회와는 독립적인 것이 되도록 출판할 것을 조언합니다. 참고로 이번 8원 2호에는 98쪽에 대한임상초음파학회 임원 명단이 나와 있는데, 학술지 출판물에는 넣지 않는 방향으로 학회와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보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말씀을 드렸고,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대한임상초음파학회의 Clinical Ultrasound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한국의료윤리학회지)
한국의료윤리학회지(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는 한국의료윤리학회(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https://medicalethics.jams.or.kr/co/main/jmMain.kci)의 공식 학회지로 3, 6, 9, 12월, 년 4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에 출간된 26권 4호의 pdf와 홈페이지(https://www.e-kjme.org/archive)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학회 홈페이지 내에 e-journal 메뉴가 있어서 학술지 독립 홈페이지가 없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정리하여 https://www.e-kjme.org/ 로 링크만 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PDF에서 판권 및 aims and scope 등 학술지의 identity를 나타내는 페이지에 대한 정비가 필요합니다. 편집위원회 명단은 학회 임원명단과 분리하고, 독립된 페이지로 구성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장과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국제학술지로 위상을 위해 국가표기도 일원화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회와 학회사무국 연락처도 최신 내용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Template file도 영문만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을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https://journal.kci.go.kr/medethics 에는 Best Practice 메뉴가 있으나, 내용에 맞지 않습니다. 연구윤리 규정은 2009년 제정되었는데, 업데이트를 권유드립니다. 원고 종류의 형식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해 주시기 바랍니다.
PDF 각 논문의 첫 페이지에 저작권과 Creative Commons License 표시 등이 모두 빠져 있습니다. 논문간 형식이 일원화 할 수 있도록 형식적인 부분을 더 세심하게 챙기길 바랍니다. 단독 저자일 경우에는 소속 번호를 붙이지 않아도 되겠고, 영문으로 작성할 때는 이름-성 순서로 하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KCI 상의 학술지 홈페이지 필드에 독립 도메인 주소를 적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문헌에 doi가 있어 편리함이 있으나 줄바꿈 등으로 인한 링크 오류가 다수 발행하고 있으니, 출판 전 PDF 점검 단계에서 manuscript editor 혹은 출판사의 세심한 재검검이 필요하겠습니다.
영문 저자가 많지는 않지만 영문 부분에서도 신경 써 주시기 바랍니다. 학회 홈페이지와 학회지에 영문과 국문에 대한 내용을 병기하고, 내용이 동일하도록 주의를 기울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문 투고규정을 삭제하고, 영문으로만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임원명단과 회무보고는 학술지에 넣지 않길 권고합니다. 학회의 일은 홈페이지에 게재하거나 회원들에게 뉴스레터를 보내는 등의 형식으로 보고하는 것을 이번 기회에 학회 임원들과 같이 고민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투고규정 등에는 쪽번호를 붙이지 않아야 합니다.
이와 같이 보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말씀을 드렸고,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한국의료윤리학회지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Neurointensive Care
Journal of Neurointensive Care는 대한신경중환자의학회(Korean Neuro-Intensive Care Society: https://www.neurointensivecare.or.kr)의 공식 학회지로 매년 4월, 10월 년 2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에 출간된 6권 2호의 pdf와 홈페이지 (https://www.e-jnic.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저널이 잘 관리되고 있고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좀 더 보완, 개선이 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을 말씀드립니다.
홈페이지 구성이 짜임새 있고 개별논문 XML과 pdf가 완벽한 interactive 기능을 구현하고 있는 질 높은 학술지입니다. 연간 10편 이상의 원저와 종설을 출간하고 있고, 발간일을 잘 지키고 있는 등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영문누리집을 독자 도메인을 확보해 운영하고 있고, 누리집 편집위원회 명단에 편집위원장, associate editor, 위원 명단, editorial assistant, 윤리 편집인, 통계 편집인, 영어 편집인, 엠투피아이 소속인 원고편집인, layout 편집인, 웹사이트와 JATS XML file 생성인을 밝히고 있습니다. Editorial board 명단에는 미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는 연구자가 각각 있습니다. Cover page 논문 그림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겠습니다. 편집위원장과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Manuscript editor가 있다면 추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투고규정과 판권에 대해 세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을 최근 것으로 업데이트하고,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개정일에 대해서도 기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가능하다면 매년 관련 규정을 살피고 개정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특히 연구 및 출판윤리 관련 규정 확충이 필수적입니다. 종설의 경우, 참고문헌 수가 40개, 원저 30개, 증례 10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준수가 필요합니다. 필요시 참고문헌 수에 대한 투고규정을 수정하기 바랍니다. Conflict of interest 부분도 상세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편집위원회에 속한 분이 논문의 저자일 경우 conflict of interest를 적어야 합니다. 논문 review와 편집과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등.
논문 제목의 대소문자 기술이 일치되어야 하겠고, 저자소속 기술, 단위, 띄어쓰기 등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모든 논문, 모든 저자들의 ORCID ID를 추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인용되지 않은 참고문헌이 있고, 저자명이 있는 경우 저자명 바로 뒤 또는 문장의 끝에 기술할 수 있지만 통일이 필요합니다. 논문 저자의 소속이 여러 곳인 경우, 어떤 기관의 IRB에서 승인을 받았는지 기록이 필요하겠습니다. Author contribution의 표기도 일원화가 필요합니다. 국제 학술지로 위상을 위해 국가 표기도 통일이 필요합니다.
교정 및 편집상의 오류 및 참고문헌 표기/링크 오류가 많이 발견되고, 본문의 약어 사용이나 표, 그림 등을 규칙에 맞게 교정하고, 참고문헌을 검색하여 형식에 맞게 게시할 수 있는 전문 교정인력의 도움을 받을 것을 권유합니다. 또한 초록 이외에 본문도 전문 영문 교정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 같이 보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말씀을 드렸고,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Journal of Neurointensive Care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개선하면서 순차적으로 국내외 DB에 등재해 나갈 것을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