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46길 37, 4층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82-2-794-4146 +82-2-794-3146 office@kamje.or.kr
제 29차 통합 재평가회 총평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대한물리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는 대한물리치료학회(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의 학술지로 매년 2월, 4월, 6월, 8월, 10월, 12월, 년 6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출간된 Vol 36, No 1의 pdf와 홈페이지(http://www.kptjournal.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전체적으로 학술지가 잘 관리되고 있고 좋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좀 더 보완, 개선이 된다면 좋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이 있어 말씀드립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필요한 내용은 대부분 있지만, 조금씩 틀리거나 오래된 자료를 참조한 경우가 있습니다.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또한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학회 홈페이지 내에 학술지 메뉴가 있어서 학술지 독립 도메인 홈페이지가 없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겠습니다. 이를 정리하여 http://www.kptjournal.org/로 링크만 제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일부 편집위원의 소속과 국적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국제 학술지로서의 위상을 위해 국가표기도 일원화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 중 외국의 전문가를 위촉하여 국제 학술지로서의 발전을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저자들이 투고할 때 투고규정 준수 확인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세심한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 출판된 논문의 참고문헌 개수가 투고규정과 다른 경우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중심단어 역시 3개로 제한하는 규정이 있지만, 많은 논문에서 이를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초록에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규정으로 가지고 있지만, 이를 지키지 않는 논문이 다수 확인됩니다. 전체적으로 투고규정을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국제색인 등록을 위해 준비하고, 예를 들어 DOAJ부터 등재노력이 필요합니다. DOAJ는 Best Practice를 공동 제정한 기관 중 하나이고, open access 학술지로 인정받는 공식적인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투고규정을 주기적으로 개정하고, 개정된 날짜를 명시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학술지 고유의 aims and scope을 좀 더 확충하고, 개괄적인 설명이 판권란과 투고규정에 포함되는 것이 좋겠습니다. 투고규정과 연구윤리규정은 정비되어 있지만, 실제 출판된 논문에서는 연구윤리심의에 대한 언급이 없거나, IRB No 등이 누락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논문심사과정에서 보완이 필요하겠습니다. 연구윤리규정은 홈페이지에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는데, 내용이 너무 간결하므로 연구출판윤리 위반시 처리방법, 중복게재, conflict of interest 관련항목 등 윤리규정을 보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부 논문에서 통계부분의 심사가 부족한 것이 확인이 되는데(통계처리방법, 사용한 프로그램 등), 편집위원으로 통계전문가를 추가하여 자문과 심사를 부탁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또한 중재연구 논문에서 선정기준, 제외기준 등을 명확하게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논문의 형식 표기를 혼돈없이 정리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보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말씀을 드렸고,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Journal of Korean Maternal and Child Health (한국모자보건학회지)
Journal of Korean Maternal and Child Health는 한국모자보건학회(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의 공식 학회지로 매년 1월, 4월, 7월, 10월, 년 4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4년 4월 출판된 Vol 28, No 2의 pdf file과 홈페이지 (https://www.e-mch.org)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편집인의 사전 comment에 따라 학회지 투고사이트 등이 개편되고 있는 과정 중이라는 것을 감안하였습니다.
표지가 수려하고, 어떤 학회지인지를 한 눈에 알 수 있는 표지입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필요한 내용은 대부분 있지만,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또한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편집위원 국적이 모두 한국일 것으로 추정하지만, 소속과 국가를 잘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소속과 국적 오탈자가 있어 수정이 필요합니다.
PDF에서 판권 및 aims and scope 등 학술지의 identity를 나타내는 페이지에 대한 정비가 필요합니다. editorial board 및 관련 staff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투고규정을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data sharing, preprint, archiving, AI로 생성한 자료에 대한 정책 등).
인간대상 임상연구에 대한 IRB 승인 및 대상자 동의 기술의무와 동물실험 포함 연구에 대한 IACUC의 승인기술 의무항목이 투고규정에 포함되어야 하겠습니다. 연구/출판 윤리관련 내용을 잘 기술하고 있고, APC를 액수까지 상세히 안내하고 있으며, editing 관련 가이드라인 업데이트 및 링크 상태도 우수합니다.
일부 논문에서 통계부분의 세심한 심사가 이루어져 보강되어야 하겠습니다. 특히 논문에서 통계처리방법이 정확하게 명시되어야 하고, 사용한 통계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게 좋겠습니다. 편집위원으로 통계전문가를 추가하여 자문과 심사를 부탁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APA 스타일임에도 본문 내 참고문헌 인용이 빠짐없이 되고 있어 잘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참고문헌 리스트의 서지정보 관리에는 조금 더 통일된 규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외 사소한 오탈자나 띄어쓰기 오류, 하위항목 번호표기나 들여쓰기 편집 상태 등에 대한 약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학술지 홈페이지가 잘 구성되어 있고, 각 논문 XML에서 interactive linking 기능도 제공하고 있으나, 논문 pdf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 점은 아쉽습니다. 학술지 전체 format과 서체의 디자인을 업데이트하면 효과적이고 가시적인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영문 투고규정이 잘 일치하고 있으나, 국문 투고규정이 수정될 경우, 영문 투고규정도 동일하게 수정이 되도록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저널의 위상과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위원장님과 위원들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Journal of Korean Maternal and Child Health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를 갖춘 학술지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을 기대합니다.

중환자간호학회지(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중환자간호학회지(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는 대한중환자간호학회의 공식 저널로 2008년 창간되어 현재 1년에 3회 발행되는 학술지입니다. 본 평가는 가장 최근 호인 2024년 2월에 발간된 17권 1호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일부 웹사이트도 확인하였습니다. 대한중환자간호학회의 저널이지만 학회지 한글 이름엔 ‘대한’이 없고, 영문 이름엔 ‘Korean’이 있습니다. 학회지의 한글이름과 영문이름을 고민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학술지는 웹사이트와 인쇄본을 발행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는 잘 구성되어 독자가 구독하기 용이하도록 구축되어 있습니다. 학회지는 한글논문과 영문논문을 게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고규정도 한글과 영문 모두 잘 구비되어 있습니다. 학회지는 전반적으로 잘 관리 및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잘 구성된 학술지 독립 홈페이지가 있으나, 학회 홈페이지에서 학술지 홈페이지로 연결이 되도록 안내가 필요합니다.
판권, 투고규정에 대한 전체적인 확인과 보완이 필요합니다. 발행인(publisher)이 학회가 되도록 수정이 필요합니다. Aims and scope과 기타 학술지 관련 정보를 충실하게 안내하는 판권란을 제대로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학술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명단은 모두 삭제하고(예, 학회 임원 명단 등), editorial board 페이지를 잘 구성해야 합니다. 학술지 편집위원 이외에 논문 심사위원이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conflict of interest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다시 고민해 주시기 바랍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또한 학회의 연락처와는 별개의 학술지 연락처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각 논문의 타이틀 페지이에 논문의 종류, copyright, 발행처, open access 문구 및 CC license, 학술지 ISO 약어명 등은 절대로 누락되어서는 안되는 내용이므로 반드시 추가해야 합니다. 연구자의 경우는 ORCID ID링크가 연결되어 있고, 논문의 참고문헌도 링크가 잘 되어 있습니다. 참고문헌의 본문 인용에는 약간의 오류가 발견되나, 참고문헌 리스트 검색과 관리는 비교적 철저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논문별로 대목 대소문자나 저자 정보 표기에 상이한 점이 발견되고, 본문 내 소제목의 일련번호 오류 등 좀 더 세심한 교정이 필요하겠습니다. 논문제목에는 약어 사용을 지양해야 합니다. 연구자 소속부분에 대해서도 세심한 주위가 필요하겠습니다. Review 과정 이후에 출판 준비시에 학술지의 received, revised, accept 날짜는 잘 기록되어 있습니다. 투고규정 개정일도 잘 기록하고 있지만, 투고규정을 정기적으로 개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혼란을 야기하는 학회 홈페이지의 학술지 메뉴는 삭제하고, 학술지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조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투고규정이 시대에 뒤쳐진 부분이 있고, 언급이 누락된 필수 요소들이 많아 대대적인 개편 및 업데이트를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1저자와 교신저자 모두 학회의 회원이어야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는 규정은 재고가 필요합니다. 투고가능한 논문 유형도 다시 재조정할 것을 권유합니다. 국영문 투고규정의 일치도 필수적입니다. 학술지 편집 포맷과 서체 등을 최근 다자인으로 업데이트하면 효과적이고 가시적인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이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는 1985년에 창간된 대한두경부종양학회의 공식 학술지로서 연 2회 발간되고 있습니다. 본 평가는 가장 최근의 2023년 11월에 발간된 39권 2호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홈페이지에서는 관련 정보를 구체적으로 잘 제공하고 있고, 논문을 검색하거나 인용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구성요건을 잘 갖춘 것으로 보이고,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습니다.
학회지 영문 명칭에 ‘The’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부분이 여러 곳에서 보여 통일이 필요합니다. 평가대상인 호에는 종설 1편과 증례보고 15편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원저가 한 편도 포함되지 않은 점이 아쉽습니다. 향후 원저 논문을 좀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학회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등의 링크를 연결한다면, 학술지에 대한 공신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편집위원 국적이 모두 한국일 것으로 추정하지만, 편집위원의 이름, 소속, 병원명, 대학명, 국가 등을 통일해서 잘 정리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판권 및 aims and scope 등 학술지의 identity를 나타내는 페이지에 대한 정비가 필요합니다.
논문은 대부분 한글논문이나 영문논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문논문 투고를 위한 투고규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국문 투고규정이 수정될 경우, 영문 투고규정도 동일하게 수정이 되도록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투고규정은 영문으로만 작성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 방법입니다. 투고규정 개정일이 2017년으로 연구윤리, 출판윤리를 포함한 최근 Best Practice 4판의 권고 항목에 부합하도록 재정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data sharing, preprint, archiving, AI로 생성한 자료에 대한 정책 등).
투고규정에 따르면 영문초록과 한글초록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보이지만, 학회지에 포함된 논문에서 한글초록은 없었습니다. 학술지 전체적으로 통일이 안된 부분이 많습니다. 논문의 큰 구성요소(서론-증례-고찰)가 통일이 안된 경우도 있습니다. 표의 note 사항기재 방법, 그림의 A, B, C 넣는 방법 등 모두 통일이 필요합니다. 또한 논문 말미에 acknolwdegement 이외에 funding, author ORCID, conflict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 등을 세분화하여 모든 논문에 적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증례보고의 경우, 최근 patient informed consent를 받았는지 명시해야 합니다. 향후 국제학술지로서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Informed consent는 양식을 만들어 투고규정 뒤에 checklist로 만들어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학술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학회회칙, 입회원서 등은 이번 기회에 모두 삭제하는 것을 상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학술지 페이지 번호가 연속되어 잘 유지되도록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보완,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말씀을 드렸고,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PDF 파일에 주석으로 표기된 내용들을 개별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내용이 적절히 보완된다면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