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3차 신규 평가회 총평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
대한기능의학회의 학술지로 5월과 12월, 년 2회 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에 출판된 Vol. 6, No. 2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학회지 접근성이 떨어져 개선이 필요합니다. 학회 홈페이지에 공지, 연계되어야 할 텐데 https://www.kifm.kr/main 에는 ‘학회지’ 항목이 없고, ‘온라인 투고’라는 항목을 클릭하면 학술지 검색만 됩니다. 주요 검색엔진/DB에서 국영문 학회지 이름으로 검색 시도해도 제시되지도 않아, 기존 학회 국문 홈페이지에 명확히 제시, 별도의 투고시스템이 있음을 안내하고, 영문 홈페이지 연계도 필요하겠습니다. 학술지 홈페이지가 새로 구축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현재 최소한의 기본 요소만 갖추고 있어 잘 구성된 학술지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개선이 많이 필요합니다. 특히 논문은 pdf로만 제공하고 있어, 추후 xml과 pdf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개선하는 게 좋겠습니다.
현재 pdf에는 학술지의 핵심 정보를 제공하는 판권란이 사실상 없는 상태입니다. 학술지의 특장점을 기술하는 aims and scope와 기타 학술지 관련 정보(ISSN, 학술지 history, 간기, 학술지 ISO 약어, 기타 학술지 관련 정보 및 데이터 베이스 등재 정보, 학술지 사이트 URL, 학회 사이트 URL, 구독 정보, copyright, CC 라이선스 등)를 충실히 안내하는 판권란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역할(통계, 윤리, manuscript editor 등)과 국적의 에디터를 확충한 Editorial Board 페이지를 잘 구성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새로 구축된 홈페이지에 해당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보완 및 보충이 필요합니다. 편집위원장 및 편집위원의 ORCID ID 제시 및 링크 연결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학술지 연락처의 경우, 일반 상업용 혹은 범용 이메일이 아닌 학술지의 고유 도메인을 사용하기 바랍니다. 현재의 naver.com은 변경해야 하겠습니다. 현재 홈페이지 주소에 https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보안 URL이 적용되어 있지 않습니다. Publisher는 기관 대표자의 이름이 아니고, 학회로 기술하여야 합니다. 최근 출판된 논문유형은 대부분 종설과 사례 위주이고, 원저는 거의 없습니다. 이는 학회지의 영향력과 인용도에도 영향을 줄 부분이라, 원저 확보가 필요하리라 여겨집니다.
각 논문의 title page에는 copyright, 발행처, open access 문구 및 CC license 등이 반드시 기재되어야 합니다. 학술지 편집 스타일을 최신 스타일로 바꾸어 서체 및 다자인 등을 리뉴얼하는 것을 권유합니다. 또한 case reports에도 대상자 written informed consent 기술이 빠지지 않도록 점검하기 바라고, 동의서 형식을 check list에 추가하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초록의 중심단어는 가능한 한 MeSH word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참고문헌은 모두 영어로 작성되어야 합니다. Review article에서의 table, figure는 타 논문 혹은 간행물에서 가져온 것이 많이 있었는데, copyright를 확인하고 기술해야 합니다.
ICMJE 4판이 새로 나왔습니다. 이에 따라 투고규정 개정이 필요하고,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에서, 학술지 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 )을 참고하여 수정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현재의 투고규정은 과거의 가이드라인이 나열되는 것이 많이 보이고, 누락된 필수요소가 다수 관찰됩니다. 잘 구성된 학술지 투고규정을 참고하여 최근의 주요 정책을 추가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출판되는 논문이 투고규정과 정책을 잘 따르도록 투고/편집/출판과정에서 잘 모니터링해야 하겠습니다.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e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영향력을 갖춘 학술지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합니다.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한국임상수의학회의 학술지로 2, 4, 6, 8, 10, 12월, 년 6회 출판하고 있습니다. 2025년 2월에 출판된 Vol. 42, No. 1의 pdf와 저널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습니다.
SCOPUS 등재된 학술지이고, 국제표준에 부합하여 투고규정과 레이아웃 등 전반적으로 잘 정비된 느낌입니다. 오류가 적고 필수 항목이 잘 정비된 학술지입니다. 편집 디자인도 단정하고, 서체가 세련되며, 시인성이 좋고, 온라인 사이트도 컨텐츠와 기능이 모두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국제 DB 등재를 부각하기 위해 SCOPUS의 학술지 링크 제공/활성화, Embase 등재 상태 추가 명시를 제안합니다. DOAJ 등재 준비를 추천합니다.
Pdf 첫 장에 있는 홈페이지 URL은 학술지 홈페이지가 아니고 학회의 홈페이지입니다. 학술지의 홈페이지로 링크를 연결해 주시고, 학회 임원명단는 삭제할 것을 권고합니다. 학회가 학술지를 출판하는 것은 맞지만, 학회는 학회의 홈페이지를, 학회지는 고유의 학회지 홈페이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전문학술지로 거듭 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학회지 홈페이지에 편집위원장의 사진이 올려져 있습니다. 다른 위원분들의 사진도 같이 고려하기 바랍니다. 편집위원들의 ORCID iD를 연동하는 것도 고려하기 바랍니다. 학회지 국제적 위상을 위해 편집위원분들의 다양성 (국적 등)을 꾀하는 방안을 제안합니다.
본 학술지는 open access이지만, 학회의 독점적인 권리를 언급하는 등의 상충되는 기준이 기술되어 있어 수정이 필요합니다. 학술지의 퀄리티에 비해 interactive pdf가 아닌 점, 본문과 표 ∙ 그림 ∙ 참고문헌 사이의 내부 링크, 그리고 참고문헌과 원문 사이의 외부 링크가 구현된 interactive pdf를 제공하실 것을 권유합니다. 편집위원의 COI가 누락된 논문이 있고, 지원금 수혜 내역의 기술이 통일적이지 않은 것은 주의를 요합니다. 무엇보다도 동물임상연구에 대해 IACUC의 승인 기술이 누락된 것은 오류이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논란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동물 대상 case report에도 IACUC의 승인을 기술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논문 내 대소문자나 띄어쓰기 오류, 표와 그림의 약어 표기 규칙 오류 등을 바로 잡을 전문 인력의 도입을 권유합니다. 특히 Figure의 경우, 학술지 스타일로 작업하여 게재하는 것이 학술지 질 제고에 매우 큰 도움이 되는 점을 감안해 보시기 바랍니다. 투고규정에 주요 항목이 빠짐없이 잘 기술되어 있으나, URL 링크 오류 등이 있어 재점검이 필요합니다. 특히 인간 대상 의학 학술지의 투고규정을 벤치마킹하면서 수의학에 필요한 윤리 및 보고 가이드라인의 언급이 누락된 부분은 수정이 필요하겠습니다. ICMJE Recommendation에 따라 홈페이지와 온라인투고 접근성 및 투고규정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투고규정은 의편협 홈페이지-공지사항, 학술지 투고사항 및 편집정책 제정/개정시 참고지침(https://www.kamje.or.kr/board/view?b_name=bo_reference&bo_id=47&per_page= )을 참고하여 수정 보완해 주시기 바랍니다. Preprint 정책과 저널 폐간 시의 백업 및 archiving 정책, AI 활용에 있어서의 지침 등의 내용도 보강하실 것을 권유합니다. CONSORT, PRISMA 등의 기준도 언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널의 위상과 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편집위원장님과 편집위원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가 전문학술지로서 관련 분야의 학술 정보 및 성과 공유에 크게 기여하고, 나아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학술지의 위상을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