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4427)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46길 37, 4층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 +82-2-794-4146 +82-2-794-3146 office@kamje.or.kr
KoreaMed 및 KoreaMed Synapse 소개
양은정 (정보관리위원회 간사)
대한의학학술집편집인협의회는 국내 의학학술지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1996년 2월에 51개 의학학술지 편집인이 모여 창립하였습니다. 편집인들은 의학학술지의 논문이 널리 읽히고 인용되게 하도록 게재논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과 논문 작성 및 심사에 대한 교육과 학술지 평가를 통한 학술지의 질적 수준 향상에 주력하였습니다. 창립 27년이 지난 오늘날 의편협은 회원 학술지가 287개로 증가하여 양적으로 성장하였고, 질적인 면에서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발족 초기부터 정보화가 의학학술지 발전의 핵심요소가된다는 것을 인지했던 의편협은 이를 위해 정보관리위원회를 구성하였습니다. 1996년 학술지 홈페이지 구축 워크숍을 개최하였고 1997년 처음으로 KoreaMed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2002년에는 KoreaMed LinkOut 서비스를, 2007년부터는 KoreaMed Synapse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의편협의 회원은 단체회원과 개인회원으로 구분됩니다. 단체회원은 학술지를 발행하는 의학학술단체로서 학술지 편집인이 그 대표자로서 참여하며, 개인회원은 학술지 편집인의 직책을 갖고 있지는 않으나 학술지 편집, 학술 논문 데이터베이스, 기타 의편협 관련 업무의 전문가로서 의편협 활동에 참여하는 회원입니다. 1996년 51개 단체회원, 8명의 개인회원으로 출발한 의편협은 2023년 단체회원 287개, 개인회원 42명, 특별회원 20개 단체를 둔 단체로 성장하였습니다. 의편협 창립에 참여한 단체회원의 면면을 보면 대한의학회 정회원 학회 학술지 27종, 준회원 학회 학술지 12종, 의학회 미가입 학술지가 3종, 의과대학 학술지가 9종이었습니다. 현재의 287개 단체회원에는 의학학술지 229종, 치의학학술지 18종 외에도 수의학 4종, 간호학 17종, 생명과학 19종 등 의학 관련 분야 학술지도 다수 참여하고 있어서 이제 의학 및 관련 분야의 학술단체를 아우르는 생명과학 학술지 편집인 단체로 영역도 확장되었습니다.
1. KoreaMed (https://koreamed.org )
우리 의학학술지의 체계적인 검색을 가능하게 한 KoreaMed는 1997년 태동하였습니다. 우리 학술지가 널리 읽히고 인용되기 위해서는 심사를 통과한 학술지 게재논문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중요함을 의편협이 창립 초기부터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KoreaMed라는 이름은 한국의 Medline이 되겠다는 취지로 붙인 이름으로서 전체적인 형식, 검색의 방식은 그 당시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PubMed의 체제를 따랐습니다. 초기에는 하루 방문 회수가 100-150회였으나,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 9-10월에는 19,070회로 크게 늘어났고, 2023년 11월 기준으로 287종 학술지의 339,553편의 논문을 수록하고 있습니다(Fig. 1). KoreaMed는 준비 단계부터 평가를 통과한 학술지에 한해서 데이터베이스에 등재시킨다는 질 개념을 도입하였습니다. 이러한 개념은 Medline이나 SCI 데이터베이스 등재 원칙을 적용하는 것으로써 우리 나라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유일한 것이고, 오늘날 KoreaMed가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2. KoreaMed Synapse (https://synapse.koreamed.org )
KoreaMed Synapse는 논문의 본문 전체를 조회할 수 있게 하고, 그림, 표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기본 기능 외에 디지털 개체 식별자(Digital Object Identifier, DOI)를 이용하여 참고문헌에서 바로 다른 학술지의 전문으로 연결해줍니다. 한국 의학 저널의 디지털 아카이브이자 참고자료 연결 플랫폼입니다(Fig. 2). Synapse에 반영되는 인용정보는 DOI를 관장하는 CrossRef에 참여하는 전세계 학술지 논문의 참고문헌에서 인용하는 정보이고, 여기 참여하는 의편협 학술지 논문이 인용하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2007년 11월 랜딩 페이지와 DOI 하이퍼링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완성되었습니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PMC (PubMedCentral) XML을 채택하여 영문 저널의 전문이나 국문 저널의 서지 데이터, 초록, 그림, 표, 참고 문헌을 표시합니다. 따라서 국문저널이 영문저널로 옮겨가는 경우 논문 전문의 표현이 PMC XML 시스템으로 원활하게 이전될 수 있습니다
KoreaMed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권위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동안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타 국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지역의학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에도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의편협에 소속된 학회지는 타국의 학술지와 비교하여 정보기술을 적기에 잘 도입하고, PMC XML 제작, Crossref에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기탁 등 적어도 국제 상업출판사가 제공하는 기능적인 서비스는 완벽하게 제공하는 모범적인 학술지입니다. 앞으로도 의편협 정보관리위원회는 이러한 KoreaMed의 기반을 바탕으로 검색과 자료 제공의 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피드백 받으며 발전해 나아고자 합니다.

Fig. 1. KoreaMed

Fig. 2. KoreaMed Synap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