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대사연구학술지 소개

비만대사연구학술지(Archives of Obesity and Metabolism, AOM)는 세계비만연맹의 full member로 정식 승인을 받은 비만대사연구학회가 발간하는 한국어 오픈액세스 상호심사 학술지로서, 2022년부터 매년 6월 30일, 12월 31일에 연 2회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AOM은 비만과 비만을 포함한 대사질환들의 역학, 진단, 치료, 관리까지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기초와 임상 연구, 종설, 증례보고, 시론, 사설, 서신 등의 우수한 원고를 엄선하여, 이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과학적 지식 정보 및 기타 의견 등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발간되는 전문 의학 학술지입니다.

AOM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새회원이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비만학을 다루는 학술지가 있지만, 아쉽게도 한국어로 발간되는 학술지는 AOM 뿐입니다. 비만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비만 연구를 고려할 때, 국내의 비만학 연구자와 비만 임상가들이 비만에 대한 연구 결과와 전문적 소견을 나눌 수 있는 출판물의 필요성은 매우 높습니다. AOM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다른 회원 학술지들을 본받아, 학술지가 다루는 전문분야의 수준 높은 정보와 최신 지견이 공유되고,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쉽게 전파되도록 하여, 한국의 비만학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의학 및 대한의학회의 위상을 높이는데 동참하겠습니다.





JCR 2024: 의편협 회원 학술지의 Impact Factor (ESCI, SCIE)

Abbreviation ISSN Total cites Impact factor 5 year JIF Citable items JCI Acute Crit Care2586-605265722.1650.43 Allergy Asthma Immunol Res2092-73552,7324.34.5490.88 Allergy Asthma Respir Dis 2288-0402820.20.2130.06 Anat Cell Biol2093-36651,0321.21.5740.72 Anesth Pain Med1975-51711,5353.2N/A510.62 Ann Coloproctol2287-97141,0352.12.2690.86 Ann Dermatol1013-90872,298 1.31.6410.48 Ann Geriatr Med Res2508-49098833.23.8570.61 Ann Hepato-Bil-Pancr2508-57786171.7N/A580.49 Ann Hepatobiliary Pancreat Surg2508-57786171.7N/A580.49 Ann Lab Med2234-38062,1123.93.8611.57 Ann Occup Environ Med2052-43749461.81.6270.55 Ann Pediatr Endocrinol Metab2287-10129593.32.6430.94 Ann Rehabil Med2234-06532,1342.92.4390.97 Ann Surg Treat Res2288-65751,3411.61.6830.78 Arch Aesthetic Plast Surg2234-0831640.20.2220.14 Arch Plast Surg2234-61632,1041.51.8950.54 Asia Pac Allergy2233-82767242.11.9220.45 Asian Nurs Res1976-13171,6472.33.3591.09 Asian Oncol Nurs2287-24341680.70.6220.26 Asian Spine J1976-19022,8092.72.5981.06 Biomed Eng Lett2093-98681,5422.83.91070.48 Biomol Ther1976-91483,0373.23.7760.73 Blood Res2287-979X8942.82.5390.45 Cancer Res Treat1598-29984,2563.83.81161.03 Clin Endosc2234-24002,0762.32.21050.45 Clin Exp Emerg Med2383-46258432.32360.97 Clin Exp Otorhinolaryngol1976-87101,4233.42.9391.71 Clin Exp Pediatr2713-41481,0553.63.8631.1 Clin Exp Reprod Med2233-82337781.61.8400.59 Clin Exp Vaccine Res2287-36514991.31.6360.34 Clin Hypertens2056-59096843.63.7350.84 Clin Mol Hepatol2287-27284,16016.912583.13 Clin Orthop Surg2005-291X2,25222.41190.97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1738-10881,7812.72.9730.65 Clin Shoulder Elb2288-87214431.7N/A610.91 Diabetes Metab J2233-60794,1688.57.2701.5 Endocrinol Metab2093-596X2,9034.24.4850.81 Epidemiol Health2092-71932,3872.23.2930.73 Ewha Med J2234-3180810.20.3620.05 Exp Mol Med1226-361319,62612.914.22131.87 Exp Neurobiol1226-25601,4712.12.9250.48 Gut Liver1976-22833,7523.23.8600.74 Healthc Inform Res2093-36811,2822.12.8370.5 Imagng Sci Dent2233-78221,1312.12.4460.74 Immune Netw1598-26292,3354.14.8420.64 Infect Chemother2093-23401,4052.92.6480.64 Int J Gastroint Int2636-0004740.20.3280.04 Int J Korean Hist1598-2041690.20.3160.51 Int J Stem Cells2005-36069392.42.7420.41 Int Neurourol J2093-47771,1552.12.1480.76 Integr Med Res2213-42201,31632.5480.63 Intest Res1598-91001,5993.93.6500.83 Invest Magn Reson Im2384-11091330.4N/A260.1 Investig Clin Urol2466-04931,2002.12.1570.76 J Audiol Otol2384-16214101.41.3290.73 J Breast Cancer1738-67561,4722.42.2350.51 J Cancer Prev2288-36499941.82.880.38 J Chest Surg2765-16062381N/A660.36 J Clin Neurol1738-65862,3373.12.9540.77 J Dent Anesth Pain Med2383-93095231.2N/A350.5 J Educ Eval Health Prof1975-59371,5753.76.8352.42 J Gastric Cancer2093-582X1,0073.82.9350.85 J Gynecol Oncol2005-03802,6353.73.5991.12 J Kor Assoc Oral Max2234-75509921.41.6460.36 J Kor Ophthalmol Soc0378-64714170.10.11130.05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1225-729X3081.41.5350.41 J Korean Acad Nurs2005-36731,1170.81.2430.43 J Korean Med Assoc1975-84565240.50.4850.09 J Korean Med Sci1011-89349,3432.32.52570.85 J Korean Neurosurg Soc2005-37112,9191.71.9710.57 J Korean Soc Radiol"2951-08053700.6N/A1100.14 J Mov Disord2005-940X8892.83.3290.62 J Neurogastroenterol2093-08792,6633.33.9470.84 J Obes Metab Syndr2508-62351,3407.96.9341.17 J Pathol Transl Med2383-78371,14332.7460.67 J Periodontal Implan2093-22781,1543.22.8361.27 J Prev Med Public Health1975-83751,6362.1N/A630.61 J Rheumat Dis2093-940X42632.1290.67 J Stroke2287-63912,5568.68.2311.79 J Trauma Inj2799-4317860.2N/A470.09 J Vet Sci1229-845X2,0981.51.7900.77 J Yeungnam Med Sci2799-80102251.41.5380.39 Kidney Res Clin Prac2211-91321,5353.83.6691.04 Knee Surg Relat Res2234-24511,3704.43.8481.77 KoreanJ Gastroenterol1598-99927520.8N/A650.15 KoreanJ Med Hist1225-505X710.20.2160.45 Korean Circ J1738-55201,9863.12.9530.8 Korean J Anesthesiol2005-64194,3856.36.8601.83 Korean J Fam Med2092-67151,4152.62.8380.85 Korean J Intern Med1226-33033,5922.42.6750.57 Korean J Orthod2234-75181,1912.32.3341.14 Korean J Pain2005-91591,2963.13.1310.91 Korean J Physiol Pha1226-45121,6482.22.1510.64 Korean J Radiol1229-69295,8335.34.7851.22 Korean J Women Healt2287-16402991.21.500.48 Lab Anim Res1738-60551,0112.93.1410.72 Max Plast Reconstr Surg2288-81018752.82.3430.79 Mycobiology1229-80932,05622.2430.53 Neurointervention2093-90433411.2N/A270.4 Neurospine2586-65832,0393.63.61111.3 Nucl Med Molec Imag1869-34741,1072.72.1550.4 Nutr Res Pract1976-14572,1571.52.2660.39 Obstet Gynecol Sci2287-85721,3391.9N/A600.77 Osong Public Health2210-90991,0391.6N/A470.51 Osteoporo Sarcopenia2405-52553202.8N/A300.91 Pediatr Gastroentero2234-86468341.61.9380.62 Precis Future Med2508-794018331.5200.41 Psychiatry Investig1976-30263,4891.82.41490.57 Radiat Oncol J2234-31568452.22.3350.43 Saf Health Work2093-79112,3302.93.6670.86 Tissue Eng Regen Med1738-26962,4674.14.2700.8 Transl Clin Pharmaco2289-08823131.5N/A180.28 Tuberc Respir Dis1738-35361,25033.1490.63 Ultrasonography2288-59191,3972.53.1470.81 Vasc Spec Int2288-79703381N/A410.28 World J Mens Health2287-42082,1344.15991.38 Yonsei Med J0513-57965,0012.82.6830.75

비만대사연구학술지 소개

비만대사연구학술지(Archives of Obesity and Metabolism, AOM)는 세계비만연맹의 full member로 정식 승인을 받은 비만대사연구학회가 발간하는 한국어 오픈액세스 상호심사 학술지로서, 2022년부터 매년 6월 30일, 12월 31일에 연 2회로 발행되고 있습니다. AOM은 비만과 비만을 포함한 대사질환들의 역학, 진단, 치료, 관리까지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기초와 임상 연구, 종설, 증례보고, 시론, 사설, 서신 등의 우수한 원고를 엄선하여, 이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과학적 지식 정보 및 기타 의견 등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한국어로 발간되는 전문 의학 학술지입니다. AOM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새회원이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비만학을 다루는 학술지가 있지만, 아쉽게도 한국어로 발간되는 학술지는 AOM 뿐입니다. 비만의 유병률이 높아지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비만 연구를 고려할 때, 국내의 비만학 연구자와 비만 임상가들이 비만에 대한 연구 결과와 전문적 소견을 나눌 수 있는 출판물의 필요성은 매우 높습니다. AOM은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다른 회원 학술지들을 본받아, 학술지가 다루는 전문분야의 수준 높은 정보와 최신 지견이 공유되고, 관련 분야 종사자들에게 쉽게 전파되도록 하여, 한국의 비만학 발전과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의학 및 대한의학회의 위상을 높이는데 동참하겠습니다.

2025 WPRIM RJSC와 APAME 학술대회 참관기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평가위원회 간사 박준범 2025년 8월 7일 오전, Western Pacific Region Index Medicus (WPRIM)의 Regional Journal Selection Committee (RJSC) 회의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다(그림 1). 회의는 Dr. Susan Mercado와 Mr. James Howlett의 개회사로 시작되었으며, 2024년 호주에서 열린 WPRIM 회의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이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회원국 소개가 있었고(그림 2), 기술지원팀을 보유한 국가(대한민국,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에 대한 안내가 이루어졌다(그림 3). 그림 1. WPRIM RJSC 회의 화면 그림 2. 대한민국 소개 자료 그림 3. 기술지원팀이 있는 국가 안내 자료 이후 WPRIM 플랫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어졌다(그림 4). 2025년 현재 대한민국 학술지는 총 289종이 WPRIM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으며, 이는 중국(334종)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치이다. 또한, KoreaMed를 통해 1년간 35,000건 이상의 학술정보가 수집·반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림 4. WRPIM 웹사이트 소개 자료 또한 Global Index Medicus의 운영 현황과 업데이트가 소개되었다. 현재 베타버전으로 운영 중이며, 14개 회원국의 735종 학술지가 색인되어 있었다(그림 5). 그림 5. WPRIM의 Global Index Medicus에 대한 소개 자료 이어 Western Pacific Region 내 사서들의 네트워킹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그림 6). WHO 태평양 지역의 보건·의학 분야 사서들은 의료인, 연구자, 정책결정자 및 지역사회를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 회원국 간 연락망 구축, 정기적 교육, 플랫폼 운영 등이 제시되었다. 그림 6. Western Pacific Region 사서 네트워킹 및 활성화 방안 논의 자료 이후 WPRIM 저널 등재, 보류(suspension), 철회(removal) 정책에 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그림 7).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등재 요건: WHO Western Pacific Region 내에서 발행, 보건·의생명 분야 주제, 내부 또는 외부 동료심사, 연구 논문의 영어 초록 제공, 연 2회 이상 발행, 투고 규정 및 ISSN 보유. - 보류 기준: 기준 미달 또는 경미한 출판윤리 위반 시 6주~12개월 보류, 중대한 윤리 위반은 최대 12개월 이상 보류 가능. - 철회 기준: 시정조치 미이행,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 최근 3년간 출판물 부재, 데이터 미제공, 허위 사실 공표 등의 경우 영구 철회 가능. 그림 7. WPRIM 저널 등재 및 보류·철회 정책 설명 자료 회의의 핵심은 회원국 학술지에 대한 평가 및 등재 승인 심사였다. 심사자들이 사전 심사를 진행하여 회의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올해는 대한민국, 캄보디아, 중국 학술지가 심사 대상이었다. 일부 학술지는 기준 미충족으로 등재가 거절되었으나, 대한민국에서 신청한 10종 학술지는 모두 등재가 승인되었다. 이를 통해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의 평가 기준이 국제적 수준과 부합함이 확인되었다. 다음날인 8월 8일 오후에는 Asia Pacific Association of Medical Journal Editors (APAME) 2025 학술대회가 온라인으로 개최되었다(그림 8). 주최 측 추산 150명 이상이 참석하였으며, 열정적인 토론이 이어졌다. 그림 8. APAME virtual meeting 프로그램 회의에서는 약탈적 저널 관련 최신 동향, 동료심사 모델 및 질 평가, 인공지능의 역할과 활용 방안, 젊은 연구자 교육 및 멘토링 등이 논의되었다. 특히, 학문적 과부하 상황에서 심사자를 지원하는 학술지의 역할에 대한 발표는 참가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또한 APAME 회장상 시상식이 있었으며, 세 명의 수상자가 선정되었다. 첫 번째 수상자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과 명예교수이자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 제2기 회장(1999-2000)이었던 함창곡 교수님으로, APAME 초대 회장(2008-2010)을 역임하며 2008년 서울, 2009년 싱가포르 학술대회를 주관하는 등 APAME 설립과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그림 9). 그림 9. APAME 회장상 수상자인 함창곡 교수 이틀간의 회의를 통해 개인적으로 많은 배움을 얻었으며, 여러 나라 연구자와 편집자들의 헌신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 학술지의 국제적 기여와 APAME와의 지속적 교류 필요성을 다시금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의편협, 하계 논문작성 워크숍 성료…AI 활용 논문작성·임상연구 출판 전략 집중 논의

국내 학술지 편집인·연구자 150여 명 참석…AI 시대 AI를 활용한 논문 작성과 연구윤리 균형 강조 대한의학학술지편집인협의회(이하 의편협, 회장:한동수(한양의대))는 지난 9일, 연세의대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 유일한홀에서 ‘2025년도 하계 논문작성 워크숍’을 개최하고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이번 워크숍은 전국 의학학술지 편집인과 연구자 210여 명이 참석해 최신 학술 출판 동향과 실질적인 논문 작성 전략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특히 인공지능(AI) 활용과 고품질 임상·기초연구 논문 작성법, 연구윤리 강화 방안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행사는 김창수(연세의대) 교육연수위원회 위원장의 사회와 한동수(한양의대) 회장의 시론(약탈적 학술지와 메가저널)으로 시작됐다. Session 1에서는 ‘AI를 활용한 논문작성’을 주제로 허선(한림의대), 유승찬(연세의대), 오재령(고려의대) 교수의 강의가, Session 2에서는 ‘AI 논문작성 입문' 주제로 김준혁(연세치대), 이준서(부천세종병원), 오희진(대구가톨릭의대), 전기현(서울의대) 교수의 강의가, 세션 3에서는 'Getting Published: Writing High-Impact Papers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Science'에 관해 신의철(KAIST), 양필성(대한부정맥학회), 강대용(원주의대), 신재일(연세의대) 교수의 강의가 있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AI 기술 발전으로 논문 작성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연구자와 편집인이 AI를 활용하는 최신 트렌드과 연구 및 출판 윤리를 균형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힘든 여건에서 알찬 워크숍을 준비해주신 의편협 교육연수위원회 위원장과 위원, 실무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앞으로도 국내 학술출판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 워크숍을 기대한다.